2025-2028 교육과정 로드맵
전공역량 정의
핵심 전공역량 정의
| 전공역량 | 정의 |
|---|---|
| 한국어교육 전공교육 및 교수법 등에 관한 전문 지식 |
국내외 한국어교육 현장에서 전문가로서의 역량을 발휘하는 데 필요한 전공 역량 |
| 국문학 및 문화에 관한 내용학적 지식 | 국어국문학의 영역인 한국문학과 글로벌 다문화 시대에 필요한 한국문화의 이해와 다문화 이해 역량 |
| 미래 사회를 선도할 스토리텔링 개발 능력 | 자신의 생각, 감정, 의견 등을 창의적으로 표출하고 미래 사회를 선도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역량 |
| 21세기를 이끌 콘텐츠 창작 능력 | 다양한 분야와 매체에서 요구되는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데 필요한 역량 |
| IT 콘텐츠 개발 능력 | 한국어와 한국문화, 문학 등 한류문화콘텐츠와 SW를 연계하는 융합 역량 중 IT 콘텐트 개발 능력에 대한 역량 |
|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운용 능력 | 한국어와 한국문화, 문학 등 한류문화콘텐츠와 SW를 연계하는 융합 역량 중 소프트웨어 개발과 운용 능력에 대한 역량 |
하위 전공역량 정의
| 전공역량 | 하위 전공역량 | 정의 |
|---|---|---|
| 한국어학 교육과정 교수법 등에 관한 전문 지식 |
한국어교사에게 필수적인 한국어학 | 전문성 있는 한국어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한국어학 지식 습득 역량 |
| 한국어교사에게 필수적인 교수법 | 전문성 있는 한국어교육을 수행할 수 있는 기본적인 교수법 지식 습득 역량 | |
| 국문학 및 문화에 관한 내용학적 지식 |
한국 문학에 관한 전문 지식 | 전통적인 한국어문학을 이해하고 연구하여 전문성 있는 국어교사 및 사교육기관 교육을 양성할 수 있는 지식 습득 역량 |
| 한국 문화에 관한 전문 지식 | 한국 문화와 더불어 전 세계의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고 연구하여 실질적인 다문화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는 지식 습득 역량 | |
| 미래 사회를 선도할 스토리텔링 개발 능력 |
창의적인 아이디어 도출과 생성 역량 | 창의적인 사고를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콘텐츠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콘텐츠를 설계할 수 있는 역량 |
| 콘텐츠의 제작과 테스팅 역량 | 창의적인 콘텐츠 설계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콘텐츠를 구현하여 특성을 제시하고, 개발자원을 확보하여 창의적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역량 | |
| 21세기를 이끌 콘텐츠 창작 능력 | 문화 콘텐츠 개발을 위한 세부 역량 | 다양한 문화를 발굴하고 탐구하여 새로운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필요한 창의적인 콘텐츠를 구성할 수 있는 역량 |
| 웹스토리 집필과 생성을 위한 역량 | 웹 스토리와 관련하여 콘텐츠 생산 능력을 함양하는 역량 | |
| IT 콘텐츠 개발 능력 | 사용자의 요구 분석과 기획 역량 | 한류문화콘텐츠를 생산하고 향유하는 능력울 함양하는 역량 |
| 기획 내용의 정합성 판단 역량 | 한류문화콘텐츠의 원천 지식을 가공하고 개발하는 능력을 함양하는 역량 | |
|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운용 능력 |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역량 | 소프트웨어 개발하는 데 필요한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할 수 있는 지식 습득 역량 |
| 수리력, 의사소통 능력 | 소프트웨어 개발하는 데 필요한 수리력과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지식 습득 역량 |
교육과정 로드맵
| 전공역량/학년학기 | 1-1 | 1-2 | 2-1 | 2-2 | 3-1 | 3-2 | 4-1 | 4-2 |
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| 한국어학 교육과정 교수법 등에 관한 전문 지식 | 한국어학개론 한국문학의이해 발상과테크닉 전공의이해 |
문장표현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와문화 전공과진로 |
한국어문법론 한국어문어교육론 |
다문화한국어교육의이해 한국어교사론 한국어교육방법론 한국어어문규범 한국어발음교육론 |
한국어구어교육론 한국어문법교육론 한국어의미론 한국어수업참관및분석1 |
한국어어휘교육론 한국어교실수업론 한국어교육실습2 캡스톤디자인1 현장실습1(3-4) 한국어화용론 |
대조언어학 한국어교육과정론 한국어평가론 한국어정보학 캡스톤디자인2 진로지도 |
응용언어학 한국어교육자료개발 졸업지도 현장실습5 현장실습2 (4-3) |
| 국문학 및 문화에 관한 내용학적 지식 | 한국어학개론 한국문학의이해 발상과테크닉 전공의이해 |
문장표현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와문화 전공과진로 캐릭터와상상력 |
한국현대소설의이해 한국어문법론 화법과의사소통 |
한국고전문학개론 국어교과교육론 한국어어문규범 한국현대시의이해 |
한국고전문학사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한국어의미론 아동청소년문학의이해 |
국어교직논리및논술 한국현대문학사 글쓰기교육의실제 캡스톤디자인1 |
한국문학교육론 한국어사 캡스톤디자인2 진로지도 |
졸업지도 현장실습5 현장실습2 (4-3) |
| 미래 사회를 선도할 스토리텔링 개발 능력 | 한국어학개론 한국문학의이해 발상과테크닉 전공의이해 |
문장표현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와문화 전공과진로 캐릭터와상상력 |
뉴미디어와디지털스토리텔링 | 다문화한국어교육의이해 | 한국어수업참관및분석1 아동청소년문학의이해 |
한국어교실수업론 한국어교육실습2 캡스톤디자인1 |
한국어교육과정론 한국어정보학 캡스톤디자인2 진로지도 |
디지털출판의이해 졸업지도 현장실습5 현장실습2 (4-3) |
| 21세기를 이끌 콘텐츠 창작 능력 | 한국어학개론 한국문학의이해 발상과테크닉 전공의이해 |
문장표현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와문화 전공과진로 캐릭터와상상력 |
한국현대소설의이해 뉴미디어와디지털스토리텔링 |
웹소설이해와창작 한국현대시의이해 |
SW스토리창작 한국고전문학사 |
한국현대문학사 한류콘텐츠와이미지그리고테크닉 글쓰기교육의실제 캡스톤디자인1 |
한국문학교육론 캡스톤디자인2 진로지도 |
졸업지도 편집디자인의실제 |
| IT 콘텐츠 개발 능력 | 한국어학개론 한국문학의이해 발상과테크닉 전공의이해 |
문장표현론 한국어교육개론 언어와문화 전공과진로 캐릭터와상상력 |
뉴미디어와디지털스토리텔링 | 한국어학개론 한국문학의이해 발상과테크닉 전공의이해 |
SW스토리창작 한국어문학과IT |
한류콘텐츠와이미지그리고테크닉 글쓰기교육의실제 캡스톤디자인1 |
한국어정보학 캡스톤디자인2 진로지도 |
한류SW개발 졸업지도 편집디자인의실제 |
|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운용 능력 | SW스토리창작 한국어문학과IT |
한류콘텐츠와이미지그리고테크닉 글쓰기교육의실제 캡스톤디자인1 |
한국어정보학 캡스톤디자인2 진로지도 |
한류SW개발 졸업지도 편집디자인의실제 |
SW스토리창작 한국어문학과IT |
한류콘텐츠와이미지그리고테크닉 글쓰기교육의실제 캡스톤디자인1 |
한국어정보학 캡스톤디자인2 진로지도 |
한류SW개발 졸업지도 편집디자인의실제 |
전공역량 연계 교양 교과목 추천
| 영역(大) | 영역(中) | 영역(小) | 교과목명 | 전공역량 |
|---|---|---|---|---|
| 기초교육 | 의사소통 | 글쓰기와읽기 | 예술적상상력과글쓰기 | · 21세기를 이끌 콘텐츠 창작 능력 · 국문학 및 문화에 관한 내용학적 지식 |
| AI·SW교육 | AI·SW기초 | 소프트웨어입문 | · 21세기를 이끌 콘텐츠 창작 능력 · IT 콘텐츠 개발 능력 ·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운용 능력 |
|
| 동영상편집기초 | ||||
| 중점교육 | 균형학문 | 인문과예술 | 포스트휴먼시대의감성인문학 | · 한국어학 교육과정 교수법 등에 관한 전문 지식 · 국문학 및 문화에 관한 내용학적 지식 |
| 한국사의새로운이해 | ||||
| 사회와문화 | 디지털사회의문화의이해 | |||
| 상상력과문화 |
비교과 프로그램 추천
| 대분류 | 프로그램명 | 추천학년 | 추천 대상 |
|---|---|---|---|
| 학습역량강화 | 나섬인성인증 | 1, 2학년 |
진로분야별 이수권장 전공 교과목
| 진로분야 | 이수권장 전공 교과목 | ||
|---|---|---|---|
| 과목명 | 개설학기 | 교육내용 | |
| 국어 교사, 한국어교원 | 국어교과교육론 | 2-2 | 교직 국어교육 |
| 국어교과교재연구및지도법 | 3-1 | ||
| 국어교직논리및논술 | 3-2 | ||
| 한국어교육개론 | 1-2 | 한국어교원 한국어교육 | |
| 한국어문어교육론 | 2-1 | ||
| 한국어교사론 | 2-1 | ||
| 한국어교육방법론 | 2-2 | ||
| 한국어발음교육론 | 2-2 | ||
| 다문화한국어교육의이해 | 2-2 | ||
| 한국어구어교육론 | 3-1 | ||
| 한국어문법교육론 | 3-1 | ||
| 한국어수업참관및분석1 | 3-1 | ||
| 한국어교실수업론 | 3-2 | ||
| 한국어어휘교육론 | 3-2 | ||
| 한국어교육실습2 | 3-2 | ||
| 한국어문학교육론 | 4-1 | ||
| 한국어교육자료개발 | 4-2 | ||
| 창작가 | 발상과테크닉 | 1-1 | 글쓰기 및 콘텐츠 창작 |
| 캐릭터와상상력 | 1-2 | ||
| 뉴미디어와디지털스토리텔링 | 2-1 | ||
| 웹소설이해와창작 | 2-2 | ||
| SW스토리창작 | 3-1 | ||
| 글쓰기교육의실제 | 3-2 | ||
| 크리에이티브콘텐츠기획제작 | 4-2 | ||
| 출판 홍보 전문가 | 디지털출판의이해 | 3-2 | 출판 및 디자인 |
| 편집디자인의실제 | 4-2 | ||
| SW 연계 기획자 | 한국어문학과IT | 3-1 | 한류콘텐츠SW |
| 한국어정보학 | 4-1 | ||
| 한류SW개발 | 4-2 | ||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