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초의 근대교육 최고의 미래교육
HOME
>교수소개
>중점교육부
본문
교수소개
서성교수
학력사항
- 중국 Peking Univ 문학박사(고대문학 전공)
경력 및 활동
- 현) 배재대학교 주시경교양대학 교양교육부 교수
-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중국언어문화학과 부교수
논문
- 『서상기 』 삽화의 이지동도와 주제의 연역, 중국문화연구, 2022.
- 신자도(信字圖)의 주제 표현 방식 연구, 한민족문화연구, 2022.
- 염자도의 유형과 주제 연구, 중국학논총, 2022.
- ‘게’ 염자도의 주제 연구, 한국학연구, 2022.
- 효제 문자도의 이미지와 필획의 조합 방식 연구, 한민족문화연구, 2022.
- 王夫之 시론 중의 ‘現量’과 ‘詩的 想像’의 관계 고찰, 중국문화연구, 2021.
- ‘어변성룡’형 충자도의 주제 해석 연구, 중국학, 2021.
- ≪금병매화집≫의 그림 속 문자 표현 연구, 중국어문논총, 2021.
- 조함미(曹涵美)가 그린 금병매화집(金甁梅畵集)의 심리 표현 연구, 중국문화연구, 2019.
- ≪공자성적도≫의 제작 방향과 시각 표현 연구, 중국학논총, 2019.
- 신기질(辛棄疾)의 남조(南朝)에 대한 역사적 기시감(旣視感)과 문학적 형상화, 중국문화연구, 2018.
- 삼국지평화 삽화의 편집 기획과 공간 운용 방식, 중국문화연구, 2018.
- 『수양제염사』에 나타난 삽시(揷詩)의 표현 효과, 인문과학연구논총, 2018.
- 악각본 <서상기> 삽화의 특징과 표현 효과, 중국문화연구, 2017.
- 『삼국연의』 아이들 관련 묘사와 그 소설적 기능, 중국학, 2016.
- ≪삼국연의≫의 용 이미지와 ≪주역≫ 乾卦의 형상화, 중국어문논총, 2015.
- 『삼국연의』 속의 협상 전략, 중국문화연구, 2015.
- 이백 전집의 판본 소개, 중국어문논총, 2015.
- 명청 서사 삽화 중의 이시동도(異時同圖)와 이지동도(異地同圖), 한국학연구, 2015.
- 명청 서사 삽화의 역사적 전개와 공간의 확장, 중국문화연구, 2015.
- 李白 <登覽> 詩 譯解 (4), 중국어문논역총간, 2015.
- 당시(唐詩) 중의 지(知)ㆍ각(覺) 동사의 생략과 번역, 중국어문논총, 2014.
- 이백 <대붕부>(大鵬賦) 역주와 해제, 중국학논총, 2014.
- 청대 손온(孫溫)이 그린 『전본 홍루몽』 화책의 서사표현 방식, 중국문화연구, 2014.
- 경쟁하는 삽화와 비평의 형식 ―≪수호전≫ 대척여인 서문본의 용여당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, 중국어문논총, 2014.
저역서
- 가헌사 : 신기질 사 전집, 학고방, 2020.
- 이백 시전집. 4, 지식을만드는지식, 2019.
- 중국 현대미술의 길 : 모더니티의 전이와 변용, 소명출판, 2018.
- 이백 시전집. 3, 지식을만드는지식, 2018.
- 이백 시전집. 2, 지식을만드는지식, 2018.
- 이백 시전집. 1, 지식을만드는지식, 2018.
- 중화문명사 제3권(上, 下), 둥국대학교출판부, 2017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