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2-2025 교육과정 로드맵
전공역량 정의
핵심 전공역량 정의
전공역량 | 정의 |
---|---|
융합적 창조 역량 | 다양한 전문 분야와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한 창조적 능력 개발 |
독창적 사고 역량 | 4차 산업혁명이라는 패러다임의 전환에 따른 독창적인 사고 능력 |
콘텐츠 제작 역량 | 문화와 기술을 접목한 현장형 실무 교육 제공을 통한 게임애니메이션 콘텐츠 창조 능력 개발 |
하위 전공역량 정의
전공역량 | 하위 전공역량 | 정의 |
---|---|---|
융합적 창조 역량 | 다원적 소통 역량 | 문화적 포용력과 인지적 유연성을 기반으로 한 사회문화적 사고력과 창작을 통한 소통의 실천 역량 |
창의적 발상 역량 | 창의적 사고력을 통한 능동적 표현능력과 전문 게임애니메이션 디자이너 양성을 위한 실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역량 | |
독창적 사고 역량 | 융합적 사고능력 | 사회, 문화, 기술, 과학 등 타 분야와의 경계를 허물고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융합적 사고 역량 |
창의적 문제해결능력 | 주어진 문제를 창의적 관점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해결 역량 | |
논리적 분석능력 | 주어진 문제를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객관화하는 역량 | |
콘텐츠 제작 역량 | 게임애니메이션 창작 역량 | 게임애니메이션 제작능력 향상을 위한 현장 형 실무 기반 교육을 통해 K-콘텐츠를 주도할 창의력을 갖출 수 있는 역량 |
게임애니메이션 기획 역량 | 게임애니메이션 기획서 작성, 스토리 구성, 캐릭터 설정 제작 과정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좋은 작품을 발굴 개발하여 게임 애니메이션 산업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역량 | |
디지털 기술 역량 | 디지털 제작기술의 숙련을 통한 미래지향적이고 현장융합적인 게임애니메이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역량 | |
게임애니메이션 연구 역량 | 학문 및 산업, 정책분야의 연구를 통해 게임애니메이션을 국내 대중문화 산업의 핵심 콘텐츠로 성장시키고 나아가 글로벌 대표 문화콘텐츠로 발돋움 시킬수 있는 역량 |
교육과정 로드맵
전공역량/학년학기 | 1-1 | 1-2 | 2-1 | 2-2 | 3-1 | 3-2 | 4-1 | 4-2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창조적 융합 예술창작 역량 | 현대회화기법1 | 현대회화기법2 | 드로잉1 | 드로잉2 | 진로지도 | 디지털스토리텔링2 | ||
전공의이해 | 전공과진로 | 디지털스토리텔링1 | ||||||
게임의이해1 | ||||||||
창조적 디자인 사고역량 | 디자인씽킹1 | 디자인씽킹2 | 게임기획1 | 게임캐릭터연구2 | 게임디자인1 | 게임디자인2 | 색채상품개발론1 | 색채상품개발론2 |
게임UX/UI디자인1 | 게임UX/UI디자인2 | 영상디자인1 | 영상디자인2 | |||||
디지털드로잉1 | 디지털드로잉2 | 정보디자인과게임1 | 게임기획2 | 3D모델링1 게임그래픽디자인1 |
3D모델링2 게임그래픽디자인2 |
모션그래픽1 캡스톤디자인2 |
모션그래픽2 | |
정보디자인과게임2 | 앱디자인1 | 앱디자인2 캡스톤디자인1 |
3D애니메이션1 | 3D애니메이션2 | ||||
글로벌 선도 웹툰 콘텐츠 제작 역량 | 대중문화의이해1 | 대중문화,의이해2 | 게임캐릭터연구1 | 게임문화론2 | 놀이와문화1 | 놀이와문화2 | 게임기획프로젝트1 | 게임기획프로젝트2 |
카툰기초1 | 카툰기초2 | 게임문화론1 | 게임과사회2 | 게임콘텐츠창작발상1 | 게임콘텐츠창작발상2 | |||
컨셉아트일러스트 | 게임과사회1 | 졸업작품 |